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35)
토이프로젝트 시작 아직 정규시간은 아니지만 시작하게되었다 어쩌다 보니 또 조장이 되었다 (이로써 프로젝트 3연속 조장격이다) 전에 프로젝트와 다르게, 주제에대해서 발표를 먼저 하지않고 하는 것인데 그냥 내가 간단히 만들어서 조원분들에게 발표를 할까..? 싶다 다들 처음이시고 그냥 '만든다' 라는거에 초점을 두는게 아닌 '왜' 이걸 만들게 되었는지 아시는것도 중요할거같아서..? 경험이 있는내가 일단 경험 대방출을 해야 다들 감잡고 편해하시지않을까 싶다 뭐 그렇다 전에 했던 ppt를 토대로 한번 해봐야겠다. 정해진것 1. 파이어 페이스의 사용 로그인 기능 등이 필수구현은 아니지만, 강의를 보나 조원분의 말씀으로 들으나 꽤나 괜찮게 쉽게? 할수있을거같아서 (스토어도 마찬가지인거 같다) 인덱스드 DB 처럼 쉽게(말이쉽게지만.....
패스트캠퍼스 프론트 엔드 개발 8기 부트캠프_중간 과정회고 벌써 4월내가 어느덧 패스트 캠퍼스에서 프론트엔드 과정을 들은지 세달이 조금 다 되간다. 정말로 시간이라는게 너무 휙휙 지나간다 스스슥..벌써 4월이라니..... HTML 기초를 슬금슬금 배우던게 엊그제 같은데, JS 를 지나 리액트 까지왔다 흡..확실히 부트캠프라서 그런지 진도가 엄청 빠른 느낌이 들지만 그래도 다른 과정에비해 시간이 길다보니,하나 하나 아주 자세히 배워 넘어가는거같다.  사실 처음에는 인강에 적응 하기가 힘들었다. 집에서 수업들으니 자꾸 눕고 싶고(침대가 너무 조은 ISFP)게임을 워낙 좋아하다보니 겜도 하고싶고 그랬는데, 앞으로 할일도 많고 취칙도 해야하고 돈도 벌어야하니 꾹 참고 들으니 적응도 어느정도 하고 하기 힘들면 스터디 카페가서 하고 그랬다.. 앞으로도 그러지 않을까 싶지만..
[JS] JavaScript 과제 블로깅 https://trainer-reg-sys.netlify.app/ 트레이너 등록 시스템 트레이너 관리 시스템 trainer-reg-sys.netlify.app 시작하며 이번에 는 자바스크립트로 여러가지 기능을 만드는 과제였는데, 사실 만들고싶었던 컨셉은 따로있었습니다. ㅠㅅㅠ "포켓몬 고" 라는 게임에서 레이드를 할려면 사람을 모아야하는데, 당근 의 동네생활처럼 내주변에 포켓몬고 유저를 검색하고 같이 게임 할수 있게끔 하고 싶었으나 잘 안됐습니다 ㅠ0ㅠ 나중에 개인 프로젝트나 토이로 조금 해보는것도 좋을거 같습니다! 그건 그거고, 일단은 과제에 나오는 기능을 다 구현하고 싶어, 기능구현에 최선을 다했습니다. 학습한 것 indexed DB 사용 최초에 로컬 스토리지를 사용하라는 예시가 있었는데, 로컬스토리..
패스트캠퍼스 프론트 엔드 개발 8기 부트캠프_멘토링 후기 멘토링?사실... 처음에 이 과정을 시작할때, 멘토링 과정이 있다는걸 조금 까먹고있었다...ㅎ;;별거 아닐거 같아서기 때문 이었는데 수업듣기도 바쁜데 선생님들이 뭔가를 더 해줄시간이 있을까 ? 라는 의문 때문이었다.적은 수 가 아닌 학생들의 질문을 다 받고 과제도 봐주시는 거 아냐?? 그럴려면 제대로 못받을거 같은데.. 라는 생각에 별 관심이 없었다. 입학..?입과..?인가 여튼 들어오고나서 알았는데,멘토님은 또 따로 계시다는 거 였다. 현직에서 오래 계신분이 봐주신다고 하니 조금 두렵기도 하고 설레기도했다.두려웠던건 내가 누군가에게 열성적으로 질문 해봤던적이 7살 이후로는 없었던지라 ^^... 무엇을 질문 해야할지 몰라 조금 난감했다.(벌써 5회차 이지만 아직도 조금 그렇다 흡) 조금 TMI 이긴한데,..
[JS] 포켓몬 API활용하기 https://pokeapi.co/api/v2/pokemon-species/ 기존에 알아본 API 로 가져오면 영어이름만 손쉽게 나온다 pokemon-species/${name}(또는 번호로도된다) 로 들어가 한글 이름을 찾아와야한다 포켓몬의 설명/ 타입도 가져올수있어서 여기서 쓰면될거같다 https://pokeapi.co/api/v2/pokemon-form/ 이미지를 가져오면 이곳에서 해야한다 ... 움직이는 이미지도 있는거같던데 어디있는걸까..? pokemon-form/${name} 로 찾아 들어가면된다. 의외로 한글 설명도 있고 게임 버전별로 주르륵 있어가지고 진짜 마니 놀랬다 더 파보면 재밌는게 나올지도...
[JS] 과제 준비하기 프로필 페이지를 개발하세요. 스크롤이 가능한 형태의 리스팅 페이지를 개발하세요. 전체 페이지 데스크탑-모바일 반응형 페이지를 개발하세요. 사진을 등록, 수정, 삭제가 가능해야 합니다. 유저 플로우를 제작하여 리드미에 추가하세요. 페이지가 보여지기 전에 로딩 애니메이션이 보이도록 만들어 보세요. 직원 검색 기능을 추가해 보세요. infinity scroll 기능을 추가해 보세요. LocalStorage를 사용하세요 과제를 받고 제일 고민했던게 로컬 스토리지를 써야하는데 한무..아니 무한 스크롤은 어케 구현해야 하는거지?? 했다가 무한 스크롤을 구현하는 페이지는 따로 빼고, 로컬 스토리지는 멘토님이 추천해주셨던 API를 활용해 보기로 했다. 간단 결론 API를 활용해보자 로컬스토리지API(?)는 안되믄 그냥..
[JS]객체지향 프로그래밍 과 생성자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 프로그래밍의 방법론 중 하나. 구체적인 사물을 추상화하여 표현 => 최소한의 정보로 대상을 표현 객체를 만들어 서로 소통 할수있게 코드를 작성. 객체지향의 장점 모듈성: 각 객체마다 독립적인 기능과 데이터를 가짐 => 재사용률이 높아진다. 재사용성: 다른 프로그램에서 재사용과 확장기능을 넣어 사용 할 수 있음. 확장성: 기존 객체를 수정하지 않고 기능 확장 유지보수성: 각객체가 독립적으로 작동, 코드의 중복이 적기 때문에 유지 보수하기가 편하다. 직관성: 사물을 객체로 모델링하여 데이터와 메서드를 가지고 있음 > 구조 이해가 직관적이다. 캡슐화: 데이터와 메서드를 하나의 단위로 묶어 객체의 세부 구현내용을 숨긴다. 1. 추상화 해보기 const bank = [ { name:'펭귄은..
[JS] this 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Web/JavaScript/Reference/Operators/this this - JavaScript | MDN JavaScript에서 함수의 this 키워드는 다른 언어와 조금 다르게 동작합니다. 또한 엄격 모드와 비엄격 모드에서도 일부 차이가 있습니다. developer.mozilla.org this 란 ? 객체 자체를 가르키는 '참조변수( reference variable )' 혹은 '객체 참조( object reference )' 라고한다. 선언되거 호출된 위치에 객체를 참조하여, 늘 값이 바뀐다. 어느 객체가 호출 하고있냐에 따라 값이 달라진다. 함수가 만들어 질때가 아닌 '실행'될때 그 값이 정해진다. 1. 전역에서 불러온 ..